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MAY+JUNE

[ SENIOR & ]Report

그들은 누구인가

‘소비 큰손’으로 떠오른
뉴 실버

수년째 소비 트렌드의 중심으로 ‘MZ’가 지목됐다. 하지만 진짜 큰손은 따로 있다.
바로 뉴 실버 세대다. 자신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시간과 돈을 아낌없이 소비하는 이들의 라이프 트렌드를 따라가봤다.

Writer. 김수정
Photo. 셔터스톡

최근 기업의 눈이 MZ 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반 출생)를 향하고 있다. 미디어에서도 연일 이들을 언급하며 MZ 세대를 공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미국 투자은행(IB) 모건 스탠리 역시 이들이 경제활동의 주력 세대라고 분석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정말 강력한 소비력을 보유하며, 무섭게 팽창하는 세대는 따로 있다. 바로 60세 이상의 시니어들이다. 이들은 현재 전 세계 자산의 절반 이상을 소유하고 있다. 인구 역시 가파르게 성장 중이다. 유엔은 현재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돼 2050년 세계 인구의 16%는 65세 이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3 고령자 통계’에 따른 고령 인구 비중 추이를 보면, 2010년 65세 이상이 우리나라 인구의 10.8%에 머물렀지만, 2020년 15.7%로 늘어난 데 이어 2023년 95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4%에 달한다. 2025년에는 20.6%(1059만 명)로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라고 발표했다. 미국 훠턴 스쿨의 마우로 기옌 교수도 저서 <2030 축의 전환>에서 2030년에 이르면 전 세계 60세 이상이 35억 명에 달한다고 예상했다. 영국 시사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도 ‘2020 세계 경제 대전망’에서 “젊은 노인의 시대가 도래했다 (The decade of the ‘young old’ begins)”며 더 건강하고 부유해진 시니어 세대가 앞으로 소비재, 서비스, 금융시장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인구층이 가장 두텁고 보유 자산과 소비력이 있는 세대는 새로운 시니어, ‘뉴 실버’인 셈이다.

실버 세대와 뉴 실버 세대의 차이점

      자료 <머니 트렌드 2024> 김도윤 지음


스스로의 삶을 적극적으로 가꿔나가는
뉴 실버의 등장

뉴 실버 세대는 베이비붐 1세대(미국 기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6년부터 1965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 이후에 태어난 베이비붐 2세대를 일컬으며, 통상 50대 중후반에서 60대 초중반을 지칭한다.
2023년 8월 한국 비즈니스학회가 발표한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패션 및 생활문화 플랫폼 연구’(이현영 창원대 교수) 논문에 따르면 뉴 실버 세대는 보유 자산이 풍족해 외모를 가꾸거나 건강을 관리하는 것에 대한 소비를 아끼지 않는 경제력과 소비 성향이 있다. 과거 노년기를 인생의 황혼기로 불렀지만 요즘 뉴 실버 세대에게는 그런 개념이 통하지 않는다. 오히려 여유로운 자금과 시간을 가지고 화려한 인생 2막을 열기 위해 다시 출발선에 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행복한 인생 2막이 열리지는 않는다. 은퇴 이전부터 철저히 대비해야 뉴 실버로서의 자격을 갖출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60세 이상 국민은 노후를 취미 활동(58.7%)이나 소득 창출 활동(17.2%)으로 보내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 국민 여가 활동 조사’에서도 지속적인 여가 활동 비율이 60대가 52.1%로 가장 높다. 생산적 활동뿐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여가 활동을 즐기려는 의지가 강한 세대다.
이들은 넉넉한 경제력과 왕성한 활동을 통해 가치 소비를 지향하고 첨단 정보기술 IT 기기와 스마트폰에도 능숙하다. 자신을 위한 투자에 인색하지 않다는 점도 이전 세대와의 차이다. 건강은 물론 여행, 교육, 취미 활동에도 시간과 돈을 아끼지 않는다. 이는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서도 고스란히 나타난다. 특히 시니어 세대의 온라인 카드 이용액 증가율도 두드러진다. 온라인 쇼핑과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합친 온라인 매출은 50~64세에서 36% 늘어났 고, 65세 이상에서는 57% 증가했다.

뉴 실버 세대는 대개 풍부한 사회적 경험과 지식, 경륜이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안목과 판단력을 발휘할 능력이 있는 만큼 자기실현의 작업을 지속할 수 있다고.

나를 위한 투자, 소비에 ‘올인’

뉴 실버들은 자기 계발에도 적극적이다. 이들에겐 경제력 외에도 은퇴 후 오롯이 자신을 위해 할애할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발달심리학자들은 중장년기에도 인간의 잠재력은 계속 계발될 수 있는 만큼 끊임없이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배우라고 충고한다. 특히 뉴 실버 세대는 대개 풍부한 사회적 경험과 지식, 경륜이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안목과 판단력을 발휘할 능력이 있는 만큼 자기실현의 작업을 지속할 수 있다고.
지난해 30년 공무원 생활을 마치고 은퇴한 61세 A 씨는 요즘 매일같이 달리기와 산행을 병행하고 있다. 내년에 있을 해외 마라톤 대회 출전과 알프스 트레킹의 성지 투르 드 몽 블랑Tour du Mont Blanc 트레킹 여행을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20년 전부터 달리기를 취미로 해왔다는 그는 “20년 넘게 뛰고, 산행하는 걸 좋아했는데 은퇴 전에는 해외 대회에 참석하는 게 물리적으로 어려웠다”며 “은퇴 후 좋은 점을 꼽으라면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던 것을 도전할 시간이 주어졌다는 것이다. 내년에 참석할 대회와 여행을 준비하는 순간순간이 설렌다”고 말했다.
A 씨처럼 자기 계발을 위한 교육, 취미 활동에 몰입하는 뉴 실버들이 늘어나면서 업계도 관련 맞춤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온라인 클래스 구독 플랫폼 클래스 101에 따르면 2022년 11월 대비 1년 새 플랫폼 내 뉴 실버 세대의 수강이 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가장 많이 수강한 온라인 강좌로는 ‘창업·부업’,‘금융·재테크’,‘디지털 드로잉’ 분야 순이었다.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뉴 실버를 위한
취미·문화 콘텐츠

로쉬코리아는 온라인 앱과 오프라인 클래스 공간을 기반으로 욜드족 대상 참여형 체험 및 취미,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북촌과 응암동에 오프라인 오뉴하우스를 운영 중이며, 이곳을 통해 200개가 넘는 체험·문화 콘텐츠를 운영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브런치스토리나 인스타그램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에서도 다수의 시니어를 위한 콘텐츠를 발행해 볼거리,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매월 온·오프라인으로 오뉴를 만나는 시니어는 약 1만 2,000명이며 그중 오프라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들은 약 5,000명에 달한다. 2023년 4월부터 ‘취미를 시작합니다’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여가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고민하는 5060세대를 위해 ‘더 나은 삶을 위한 1인 1취미 갖기’를 제안하는 취지로 기획됐다. 그림, 미식, 여행, 영화, 연기, 전시, 사진, 춤, 클래식, 책 등 12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으며, 각 클래스는 주 1회씩 4회 차로 진행된다. 중장년 라이프스타일을 개발하는 소셜 커뮤니티 플랫폼 ‘시놀’은 문화, 여가, 취미를 공유할 수 있는 뉴 실버들의 만남을 지원한다. 시놀이 개발한 5070세대를 위한 동명의 만남 주선 앱 ‘시놀’은 시니어 세대를 위한 데이팅 앱이다. 동일한 관심사, 희망 연령 등을 고려해 이성을 찾아주는 위치 기반 매칭이 호응을 얻고 있다. 2022년 서비스 출시 8개월 만에 가입자 수 1만 명을 돌파하며 50대에서 80대까지 폭넓은 회원을 확보하고 있다. 월평균 이용자 수는 7,000명에 달한다.